한자에서 부수가 무엇인가를 모르는 사람은 없으리라 생각됩니다. 한자를 구성하는 일부분 중에 공통되는 부분을 떼어 정의한 것이지요. 옥편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옥편의 앞이나 뒤에 '부수색인'이라는 것이 있는 것을 본 적이 있을 겁니다. 부수는 한자를 옥편에서 찾아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요. 혹시, 특정 한자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하고자 할때, 한국 사람이라면 어떻게 설명할까요? 예를 들어 秋란 한자를 다른 사람에게 설명한다고 칩시다. 보통은 '가을 추'라고 설명할 겁니다. 이정도로 웬만하면 통용은 되지만, 혹시 이 글자를 모르는 사람에게 말로 설명을 하자면, 그리고 이걸 손으로 직접 쓸 수 없는 상황의 경우라면? (전화를 한다고 생각해보세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설명이 가능할 겁니다. '벼 화변에 불 ..
人 ジン、ニン、ひと 여느때는 'ひと'라고 읽으면 충분하다. ニン또는 ジン으로 읽힐 때는, 한자어에 人가 들어있을 경우이다. 물론 한자어의 경우도, 순수 일본어를 한자로 표기한 경우에는 ひと가 된다. 그런 케이스는 경험을 쌓아 판별하는 수 밖에 없다. 대략이나마 패턴을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야후재팬의 국어사전에서 참고) ジン으로 읽힐 경우: 국적, 지역, 직업, 분야를 나타내는 말에 사용되어, 그것에 해당되는 사람, 또는 그것을 가진 사람이라는 뜻을 표기할때. 韓国人(かんこくじん), 経済人(けいざいじん), 現代人(げんだいじん), 自由人(じゆうじん) ニン으로 읽힐 경우: 특정한 행동을 하는 사람, 그 역할을 맡은 사람, 또는 사람 수를 셀때의 보조명사로 쓰일때. 仕事人(しごとにん), 案内人(あんないにん..
耳 ジ、みみ 보통 'みみ'라고 읽히는 이 한자는, 음으로 읽히는 경우는 한자어 명사로 쓰이는 경우 정도이다. 耳鼻咽喉科(じびいんこうか) 이비인후과 耳(みみ)を澄(す)ませば 귀를 기울이면 七 シチ、なな、なな-つ、なの 보통 이 글자는 'なな'로 읽힌다. 음인 'シチ'로 읽히는 경우는 위의 耳와 마찬가지로, 한자어 명사로 쓰이는 경우이다. 단 예외가 몇가지 있는데, 이레(7일)에 해당하는 七日는 'なのか'라고 읽힌다. 그리고 전혀 엉뚱한 읽기로, 칠석의 일본말인 七夕은 たなばた라고 읽힌다. 七月七日(しちがつなのか))は七夕(たなばた)だったな... 7월 7일은 칠석이었지... 彼(かれ)はケーキを七(なな)つ買(か)った。 그는 케이크를 7개 샀다. 용어) 아테지(当て字) : 일본어를 한자로 쓸 경우, 그 자의 의미와..
- Total
- Today
- Yesterday
- 忘れ物
- 비밀결사
- 부수
- 도쿄도지사
- 읽는 법
- 아사노
- 한국어
- 와루큐레
- 비교
- 悪キューレ
- 子
- R25
- 경제
- 매의 발톱
- 스팸메일
- 하승남
- ☭
- 만화
- 이시하라
- 요리
- 마쓰오카
- 일본
- 다이제스트판
- 사카이 이즈미
- 다카노쓰메
- 비즈니스
- 파트괴인
- 한자
- 여과기
- 일본어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