五 ゴ、いつ、いつつ 한국 한자에서 'ㅇ'으로 시작하는 글자들 (오, 아, 우...) 중에 일부는, 일본어에서 잡음이 끼는 ガ단으로 발음되는 경우가 있다. 이 '五' 도 그 경우이다. 五月(ごがつ)五日(いつか)まで五(いつ)つの案件(あんけん)を処理(しょり)する。 5월 5일까지 다섯 개의 안건을 처리한다. 口 コウ、ク、くち 이 글자는 거의 'くち'로 발음이 된다고 보면 확실하다. 口가 음으로 발음이 되는 경우는 일부의 한자어에서나 찾을 수 있다. 그리고 일본어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지만, 口가 단어에서 2번째 이후로 올 경우, 앞의 발음 く가 탁음화되어 ぐち가 되는 경우가 많다. 참고로 한국에서 '큰 입구'로 불리는 커다란 네모 글자는 'くにがまえ'라는 이름이 있다. 彼(かれ)は口(くち)が悪(わる)い。 ..
한자 학습 1-1에서 빠뜨린 한 글자가 있었다. 바로 한국에서 '아래 하'로 불리는 下인데, 일본어에서는 이 下를 여러 방식으로 읽기 때문이고, 그 용례가 꽤 많다. 소문으로는 한 글자를 가지고 다른 읽기가 가장 많은 한자가 이거라는 말도 있는데.. 아무튼 살펴보기로 하자. 사실, 먼저 한국어에서 '하'란 글자가 어떤 용례로 쓰여지는가를 생각해보면, 그리 간단치는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지'하'철: 땅 '속'에 있는 철도를 의미하는 단어. '속', '밑', '아래'라는 의미로 쓰이는 경우를 찾을 수 있다. 여기서의 '밑'은 물리적인 위치의 '밑'이 아닐까?'하'강 : 아래로 내려간다는 뜻. 어딘가에 뭍혀있는 듯한 '밑'이 아닌, 방향으로의 '아래'의 의미가 아닐까?산'하'단체: 어떤 그룹이나..
이번에는 앞의 10자(실제로는 9자)에 이어서 새롭게 10자를 공부해보겠다. 学 ガク まなぶ 한국에서는 정자체로 學(배울 학)을 쓰고 있으나, 일본에서는 약자인 学를 쓴다. 남자 이름 중에 '마나부'란 이름은 이 한자를 써서 표기하는 경우이다. 전통이 있는 학교의 간판에는 예전 풍으로 學을 쓰고 있는 경우도 종종 있다. 참고로 이 글자는 발음 상의 변화가 있다. 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나, く로 끝나는 한자가, 뒤에 청음(清音), 즉 탁음표시가 오지 않는 보통 발음의 글자가 오는 경우, く가 마치 한국어의 ㄱ받침처럼 발음되는 경우가 많다.(沢山(たくさん)의 발음은 '닥상' 에 가깝다.) 특히 か행의 か、き、く、け、こ가 왔을때는 발음은 물론이거니와, く의 표기가 ッ(작은 つ)로 바뀌기까지 한다. 단, 탁음이..
- Total
- Today
- Yesterday
- 스팸메일
- 도쿄도지사
- 부수
- 한국어
- 읽는 법
- 만화
- R25
- 요리
- 비밀결사
- 여과기
- 사카이 이즈미
- 다카노쓰메
- 이시하라
- 비즈니스
- 子
- 매의 발톱
- 와루큐레
- 한자
- ☭
- 일본
- 다이제스트판
- 悪キューレ
- 경제
- 파트괴인
- 하승남
- 아사노
- 마쓰오카
- 일본어
- 忘れ物
- 비교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